[2024 발달장애인용 신규 맞춤형 콘텐츠] 스마트폰으로 동영상 촬영하기
시청자미디어재단, 스톰미디어, 발달장애인, 2024, 신규, 스마트폰, 동영상, 촬영
내용
공감하기
자막
00:00:00 [♪] 흥겨운 배경음악 00:00:16 (박철우) 안녕하세요, 저는 동영상 만드는 방법을 쉽고 재미있게 알려드릴 강사 박철우입니다. 00:00:22 (박철우) 카메라나 컴퓨터 없이 스마트폰 하나로 나만의 영상을 만들어보려고 합니다. 00:00:27 (박철우) 영상을 만들기 위한 첫 번째 과정, 먼저 어떤 내용을 담을지 생각을 해야 되는데요. 00:00:33 (박철우) 내가 좋아하는 음식 다섯 가지 또는 내가 사랑하는 사람들이 웃는 순간. 00:00:38 (박철우) 이런 주제처럼 동영상에 무엇을 담을지 한번 생각을 해보는 거예요. 00:00:43 (박철우) 그다음에 내용에 맞는 장면을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시면 됩니다. 00:00:49 (박철우) 이렇게 촬영이 끝났으면 편집을 하셔야 되는데요. 00:00:52 (박철우) 편집은 여러 개의 동영상과 사진을 내가 생각한 순서대로 연결하면 됩니다. 00:00:58 (박철우) 편집을 하면서 하고 싶은 말을 자막으로 넣을 수 있고, 배경 음악도 넣을 수 있는데 그렇게 되면 훨씬 멋진 영상이 완성됩니다. 00:01:07 (박철우) 이렇게 만든 영상을 다른 사람들과 함께 보면 더 큰 즐거움을 느낄 수 있죠. 00:01:12 (박철우) 그렇다면 영상 촬영은 어떤 순간에 해야 하느냐. 00:01:16 (박철우) 이 귀여운 친구는 오늘 저희와 함께할 강아지 '매실이'라고 합니다. 귀엽죠? 00:01:22 (박철우) 사실 이렇게 사진만 연결해도 영상이 되지만 매실이의 귀여운 움직임이나 소리까지 담고 싶다면 그때가 바로 동영상 촬영이 필요한 순간입니다. 00:01:34 (견주) 매실아~ 매실이~ 언니, 언니, 언니, 언니, 언니! 00:01:37 (박철우) 어때요, 영상으로 보니까 훨씬 좋죠? 00:01:40 (박철우) 움직이는 사람이나 동물뿐만 아니라 바람에 흔들리는 예쁜 꽃이나 바닷가의 파도 또는 하늘 위의 구름도 영상으로 찍을 수 있습니다. 00:01:51 (박철우) 영상을 찍어두면 좋았던 순간을 더 확실하게 간직할 수 있답니다. 00:01:56 (박철우) 영상에는 이렇게 내가 나오게 촬영할 수도 있고, 내가 아닌 다른 사람들을 찍을 수도 있어요. 00:02:02 (박철우) 강아지나 고양이 같은 반려동물을 찍어도 되고요. 00:02:05 (박철우) 좋아하는 물건이나 음식을 찍어도 됩니다. 00:02:09 (박철우) 이렇게 찍은 영상으로 이야기가 있는 영화나 음악에 어울리는 뮤직비디오를 만들 수도 있습니다. 00:02:15 (박철우) 누군가에게 질문을 하고 대답을 들어보는 인터뷰 영상도 만들 수 있습니다. 00:02:20 (박철우) 요즘에는 여행하는 모습이나 하루 일과를 찍어서 유튜브나 SNS에 올리는 브이로그를 만들기도 합니다. 00:02:29 (박철우) 여러분은 어떤 영상을 만들고 싶으세요? 00:02:32 (박철우) 고민이 끝났다면 지금부터 잘 찍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00:02:37 (박철우) 여러분, 동영상 촬영을 위해 먼저 스마트폰을 켜주세요. 00:02:42 (박철우) 카메라 앱을 찾아서 누르면 보통 이렇게 사진 촬영 모드로 돼 있을 거예요. 00:02:47 (박철우) 화면을 옆으로 밀어서 동영상 모드로 바꿔주면 됩니다. 00:02:51 (박철우) 그리고 화면 비율을 정해야 해요. 00:02:54 (박철우) 스마트폰을 이렇게 가로로 들고 찍을지, 아니면 세로로 들고 찍을지 정하는 겁니다. 00:03:01 (박철우) 딱 정해서 한 가지 방향으로 쭉 찍는 게 좋아요. 00:03:05 (박철우) 가로세로 두 가지 비율로 찍어서 영상을 만들면 어떻게 될까요? 00:03:09 [♪] 흥겨운 배경음악 00:03:16 (박철우) 보세요, 어지럽고 지저분해 보이죠? 00:03:19 (박철우) 만약에 요즘 많이 보이는 숏폼 영상, 그러니까 인스타그램 릴스나 유튜브 쇼츠 같은 형태로 만들고 싶다면 이렇게 세로로 찍는 걸 추천합니다. 00:03:29 [♪] 흥겨운 배경음악 00:03:37 (박철우) 두 번째로 촬영할 때 수직, 수평을 맞추셔야 돼요. 00:03:40 (박철우) 물체가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똑바로 보이도록 찍는 겁니다. 00:03:45 (박철우) 한번 볼까요? 00:03:46 (박철우) 수평을 맞춘 사진과 안 맞춘 사진이에요. 00:03:50 (박철우) 어때요, 수평을 맞춘 쪽이 더 보기 좋죠? 00:03:53 (박철우) 풍경을 찍을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00:03:55 (박철우) 수평을 맞추지 않으면 뭔가 어지럽고 불안해 보일 수 있어요. 00:03:59 (박철우) 그런데 수직, 수평 맞추기가 어렵다고요? 00:04:02 (박철우) 스마트폰 카메라에 있는 수직/수평 안내선이 여러분을 도와줄 거예요. 00:04:07 (박철우) 수직/수평 안내선은 이렇게 카메라를 켜면 여러 개의 가로세로 줄이 보일 겁니다. 00:04:14 (박철우) 본인 카메라에 혹시 보이지 않는다면 보이도록 할 수 있어요. 00:04:17 (박철우) 카메라 화면 위쪽에 톱니바퀴 모양의 설정 버튼이 있습니다. 00:04:21 (박철우) 이걸 누르면 다양한 설정 메뉴가 나오는데요. 00:04:24 (박철우) 아래로 좀 내려보시면 수직/수평 안내선 활성이라고 쓰여 있을 거예요. 00:04:29 (박철우) 이게 꺼져 있을 수도 있으니까 반드시 눌러서 켜고 촬영하도록 하세요. 00:04:34 (박철우) 그런데 영상 촬영 초보자들이 많이 하는 실수가 있어요. 00:04:37 (박철우) 어떤 건지 제가 한번 보여드릴게요. 00:04:40 [♪] 흥겨운 배경음악 00:04:47 (박철우) 여러분, 보니까 어떠세요? 00:04:49 (박철우) 대체 뭘 찍고 싶었던 건지도 잘 모르겠고, 영상만 봐도 멀미가 날 것 같아서 오래 보기 힘든 영상입니다. 00:04:57 (박철우) 이렇게 찍어온 학생에게 왜 이렇게 찍었냐고 물어봤더니 이런 대답을 하시더라고요. 00:05:02 (박철우) "선생님, 저는 동영상을 멈춰서 찍는 줄 몰랐습니다." 00:05:06 (박철우) 동영상은 무조건 같이 움직이면서 찍어야 하는 줄 알았대요. 00:05:10 (박철우) 여러분도 혹시 영상을 찍을 때 이리저리 움직이면서 찍고 있나요? 00:05:14 (박철우) 그렇다면 지금부터는 움직이지 말고 찍어보세요. 00:05:18 (박철우) 다리는 가만히, 팔도 가만히, 카메라도 움직이지 않고 마치 사진 찍듯이 동영상을 찍는 거예요. 00:05:26 (박철우) 그런데 바다나 산처럼 넓게 펼쳐진 풍경을 한 번에 담고 싶은데 움직이지 않으면 다 찍을 수 없다고 생각하시죠? 00:05:34 (박철우) 요즘 스마트폰 카메라는 화각을 조절할 수 있어요. 00:05:38 (박철우) 화각이란 카메라가 담을 수 있는 넓이를 말합니다. 00:05:42 (박철우) 화각이 크면 더 넓은 화면을 담을 수 있는 건데요. 00:05:47 (박철우) 스마트폰 종류에 따라 화각 조절이 안 될 수도 있습니다. 00:05:51 (박철우) 그래도 어지럽게 움직이지 말고 부분적으로 찍어보세요. 00:05:57 (박철우) 넓은 풍경 중에 보여주고 싶은 부분이 여러 개라고요? 00:06:01 (박철우) 그래요, 만약 바다라면 파도도 찍고 싶고, 날아다니는 갈매기도 찍고 싶고, 모래사장도 찍고 싶고, 이렇게 여러 부분을 찍고 싶을 수 있어요. 00:06:11 (박철우) 그러면 움직이지 말고 부분, 부분 여러 번 찍으시면 돼요. 00:06:16 (박철우) 부분적으로 찍고 편집 과정을 통해 이 장면들을 연결하면 되니까요. 00:06:22 (박철우) 그래도 동영상을 만약 걸으면서 찍어보고 싶다면 스마트폰을 최대한 몸 가까이에 붙여서 팔은 움직이지 않고 다리만 움직이면서 찍어보세요. 00:06:33 (박철우) 이렇게 찍은 화면은 움직이고 있지만 몸에 바짝 스마트폰을 붙이고 촬영을 하시면 편안한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00:06:42 (박철우) 학생들에게 최대한 움직이지 말고 촬영하는 걸 가르쳐줬더니 또 이런 질문을 받은 적이 있어요. 00:06:47 (박철우) "선생님, 꽃밭이나 나무를 찍고 싶은데 이거 안 움직이는 거 아닌가요? 가만히 찍으면 사진이랑 동영상이랑 똑같지 않나요?" 00:06:57 (박철우) 제 대답은 절대 똑같지 않습니다. 00:06:59 (박철우) 왜냐하면 나무를 찍을 때 나무는 그 자리에 그대로 있지만 바람이 살랑살랑 불 수도 있고요. 00:07:06 (박철우) 또 새가 날아올 수도 있잖아요. 00:07:08 (박철우) 또 낙엽이 나풀나풀 떨어질 수도 있고요. 00:07:11 (박철우) 이런 걸 힐링 영상이라고 하죠. 00:07:13 (박철우) 이런 영상에 좋아하는 노래를 깔면 나만의 뮤직비디오가 될 수도 있는 거예요. 00:07:20 (박철우) 기분 좋은 힐링 영상 여러분도 찍을 수 있습니다. 00:07:25 (박철우) 영상 잘 찍는 방법, 이번에는 거리 맞추기입니다. 00:07:29 (박철우) 찍고 싶은 대상이 나와 얼마나 떨어져 있느냐에 따라 느낌이 다른데요. 00:07:34 (박철우) 너무 귀여운 우리 집 강아지 매실이를 찍어서 자랑하고 싶어요. 00:07:38 (박철우) 그러면 여기서 중요한 건 강아지거든요. 00:07:42 (박철우) 그런데 이렇게 넓은 공간에 매실이는 보일 듯 말 듯 찍으면 어떨까요? 00:07:46 (박철우) 내가 자랑하고 싶은 매실이의 귀여움을 보여줄 수 없잖아요. 00:07:50 (박철우) 주인공인 매실이를 화면에 잘 보이게 담아야겠죠. 00:07:54 (박철우) 귀여운 건 가까이에서 다 같이 봐야죠. 00:07:57 (박철우) 이렇게 자세히 봐야 할 필요가 있는 건 가까이 가서 찍는 게 좋습니다. 00:08:02 (박철우) 하지만 무조건 가까운 게 좋은 건 아니에요. 00:08:05 (박철우) 자연이나 풍경은 멀리에서 넓게 찍으면 좋죠. 00:08:10 (박철우) 만약 넓은 꽃밭을 찍고 싶다면 멀리서도 찍고 또 가까이에 가서 꽃 한 송이에 집중해서 한번 찍어보세요. 00:08:18 (박철우) 그리고 편집으로 이 두 화면을 연결하면 여러분이 보여주고 싶은 걸 다 보여줄 수 있습니다. 00:08:25 (박철우) 동영상 잘 찍기 위한 방법, 이번에는 배치하기입니다. 00:08:29 (박철우) 배치가 뭐냐 하면 화면 안에서 사람이나 물건을 어디에 둘지 정하는 거예요. 00:08:35 (박철우) 어떻게 배치하는지에 따라 느낌이 많이 다른데요. 00:08:39 (박철우) 바로 비교해 볼까요? 00:08:41 (박철우) 사람을 찍었을 때 화면이에요. 00:08:43 (박철우) 둘 중에 뭐가 더 보기 좋은가요? 00:08:45 (박철우) 아마 많은 분들이 오른쪽 화면을 선택하실 거예요. 00:08:49 (박철우) 그러면 왼쪽 화면은 왜 별로일까요? 00:08:53 (박철우) 먼저 배경에 없어도 될 게 너무 많습니다. 00:08:56 (박철우) 그리고 인물 뒤쪽으로 빛이 들어오고 있죠 00:09:00 (박철우) 사람이나 사물이 빛을 등지고 있으면 이렇게 되는 거예요. 00:09:06 (박철우) 이런 걸 역광이라고 말을 하는데요. 00:09:08 (박철우) 빛이 뒤에 있으니까 피부도 칙칙해 보일 수 있습니다. 00:09:12 (박철우) 햇빛은 어쩔 수 없는 건데 어떻게 배치하냐고요? 00:09:16 (박철우) 그러면 사람이 빛을 마주 보고 있는 곳으로 이동하면 되죠. 00:09:22 (박철우) 또 이 화면은 사람의 머리 위의 공간이 너무 많아요. 00:09:26 (박철우) 사람 얼굴이 화면 정중앙에 있지 않아도 돼요. 00:09:30 (박철우) 그러면 어떻게 하면 되는지 배치가 잘 된 화면을 한번 볼까요? 00:09:35 (박철우) 여기 보세요, 사람 얼굴이 더 위에 있는데 보기 편안하시죠? 00:09:40 (박철우) 이렇게 인물을 찍을 때는 머리 위로 주먹 하나가 들어갈 정도의 공간을 비워서 촬영하시면 됩니다. 00:09:48 (박철우) 그리고 사람 뒤에 빛이 없으니까 피부가 훨씬 밝은 느낌이 들죠. 00:09:54 (박철우) 그리고 뒷배경도 지저분한 게 없으니 사람에게 집중이 잘 됩니다. 00:09:59 (박철우) 여러분, 혹시 셀카 찍는 거 좋아하세요? 00:10:02 (박철우) 별로 안 좋아하더라도 잠시 스마트폰 셀카 모드를 켜보세요. 00:10:07 (박철우) 셀카 많이 촬영하는 친구들은 잘 알 거예요. 00:10:09 (박철우) 내가 예뻐 보이는, 잘생겨 보이는 각도가 있다는걸요. 00:10:13 (박철우) 저도 한번 같이 해볼게요. 00:10:16 (박철우) 카메라를 밑으로 내려서 얼굴을 찍으면 어때요? 00:10:19 (박철우) 저도 한번 찍어볼게요. 00:10:23 (박철우) '아이고, 이게 누구야? 내가 이렇게 생겼었나?' 이런 생각이 들 거예요. 00:10:27 (박철우) 그리고 카메라를 눈높이보다 살짝 이렇게 위에 두고 찍으면 눈이 좀 커 보이고 턱 부분이 날렵해집니다. 00:10:36 (박철우) 이게 바로 각도의 중요성입니다. 00:10:40 (박철우) 셀카를 찍을 때처럼 영상을 찍을 때도 보기 좋은 각도가 있어요. 00:10:45 (박철우) 위에서 아래로 내려보며 찍는지, 아니면 아래에서 위로 올려보며 찍는지, 아니면 눈높이를 맞춰서 찍는지에 따라 다른 느낌을 낼 수 있습니다. 00:10:57 (박철우) 만약 맛있는 음식을 찍고 싶다면 이렇게 위에서 아래로 찍어야 그릇 안에 있는 음식이 잘 보이겠죠. 00:11:05 (박철우) 위에서 아래로 찍을 때도 각도는 다양한데요. 00:11:09 (박철우) 카메라를 형광등처럼, 제가 이렇게 하는 것처럼 완전히 내려보면서 찍을 수도 있고요. 00:11:15 (박철우) 약간 옆에서 이런 식으로 내려보는 모습으로 찍을 수도 있습니다. 00:11:20 (박철우) 보기 좋은 각도는 많이 찍어보면서 찾을 수 있으니까요. 00:11:24 (박철우) 각도 찾기 힘들다고 포기하지 마시고 다양한 각도에서 여러 번 찍어보세요. 00:11:30 (박철우) 요즘 스마트폰 카메라는 기능이 참 좋습니다. 00:11:33 (박철우) 여러분은 어떤 기능을 주로 쓰시나요? 00:11:36 (박철우) 기본적인 동영상, 사진 촬영 기능을 많이 쓰시죠? 00:11:40 (박철우) 좀 더 특별한 느낌을 주고 싶다면 다른 기능도 한번 써보세요. 00:11:45 (박철우) 카메라 화면 아래쪽에 "더 보기"라는 메뉴가 있어요. 00:11:50 (박철우) 이걸 누르면 다양한 메뉴가 나옵니다. 00:11:53 (박철우) 여기에서 인물 사진, 인물 동영상은 사람을 찍을 때 활용하면 좋아요. 00:11:59 (박철우) 뒷배경을 흐리게 만들어서 사람이나 사물에게 더 집중할 수 있게 해주거든요. 00:12:05 (박철우) 이번에는 슬로우 모션을 한번 써볼까요? 00:12:08 (박철우) 슬로우 모션은 강아지처럼 빠르게 움직이는 모습을 찍을 때 한번 써보세요. 00:12:13 (박철우) 빠르게 움직이는 강아지의 모든 순간을 천천히 볼 수 있는 느낌이 듭니다. 00:12:19 (박철우) 두 가지 방법으로 촬영한 화면인데요. 00:12:22 (박철우) 이 두 영상을 편집으로 섞어서 연결하면 마치 영상이 춤을 추는 듯한 리듬감을 느낄 수 있답니다. 00:12:29 (박철우) 오늘 알려드린 방법을 기억하면 여러분도 스마트폰으로 멋진 영상을 촬영할 수 있습니다. 00:12:36 (박철우) 여러 가지 방법으로 최대한 많이 촬영해 보시면 어떤 방법이 나와 잘 맞는지 찾을 수 있을 겁니다. 00:12:42 (박철우) 지금 바로 카메라 On! 00:12:46 [♪] 마무리 배경음악
분류선택하기
분류선택하기
생활정보
안전
건강
요리
직업
취미
교육
기타
유튜브
우리들의 이야기
부모교육 및 지원정책
다음동영상(취미)
[2024 발달장애인용 신규 맞춤형 콘텐츠] 스마트폰으로 동영상 ..
너무 너무 화날 때 이런 음악 어때 ?
내 손으로 만들어 먹어요 (6~12세)
집콕놀이의 재미: 종이 오리기
[모두의 춤] 케이팝 따라하기 - 크러쉬 "Rush Hour" 편
이불과 베개로 재밌게 놀자
나풀나풀 꽃밭에 놀러온 나비
먹을 수 있는 그릇 만들기
쉽게 따라할 수 있는 인생사진 찍기!
날아라 종이비행기 접는 법
파티 용품 만들기: 가랜드 만드는 방법
모두의 춤 케이팝 따라하기
캠핑은 즐거워 (2~5세)
즐겁게 음악으로 표현해요
도전! 함께 등산하기
즐겁게 기다리는 방법
오늘부터 나도 식집사! 반려식물 키우기
안전한 액체괴물 만드는 법
튼튼 쑥쑥 얄라차 체조
빙빙빙 종이비행기 만들기
공원에서 친구랑 신나게 놀기
신나는 '올챙이와 개구리' 율동
귀여운 강아지와 즐거운 율동
개그맨 김원효가 알려주는 "나도 이제 유튜버!"
번개체조 잘난체조
함께 즐겁게 공을 가지고 놀아요
여행 두 번째, 같이 책방을 가보자(같이 해요 시리즈 8편)
얄라차 체조 동영상
즐거운 '우유송' 율동
귀여운 나만의 이모티콘 만들기
[2024 발달장애인용 신규 맞춤형 콘텐츠] 다양한 지역사회 프로..
'얼굴놀이' 하면서 놀자~ 놀자~
[2024 발달장애인용 신규 맞춤형 콘텐츠] 케이팝 챌린지
달걀로 만든 탱탱볼로 활동하기
"어서 와, 페이스북은 처음이지?" SNS 활용하는 법
특집기사. 신나는 세계여행 (6~12세)
발달장애인 밴드 "평화밴드 보이앤걸즈" 이야기 (2020 드림톡톡..
나만의 휴대폰 케이스 만들기
네모 나라 친구들과 신나는 율동
발달장애인 가족생활 1편 - 부부생활
바다로~ 산으로~ 여행을 떠나요
우리나라 음악, 국악에 풍덩 빠져봐요!
집콕놀이의 재미: 색칠하기
노래로 이야기하는 신나는 뮤지컬
해바라기 부채 만드는 방법
복부비만 탈출 (6~12세)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2~5세)
즐거운 한옥 체험
발달장애인 브이로그 "김대연의 아름다운 취미생활"
여행 첫 번째, 같이 걸어보자(같이 해요 시리즈 7편)
멋지게 애완동물 기르기
재미있는 빨대 피리 만드는 방법
[2024 발달장애인용 신규 맞춤형 콘텐츠] 스마트폰으로 동영상 ..
자석이 된 풍선
동요 '건너가는 길' 율동
같이 꽃꽂이를 배워보자(같이 해요 시리즈 6편)
신나게 춤 춰요! 실버댄스
맛있는 슬러시,아이스크림 만들기
절대 절대 안 터지는 풍선
하하하 웃음빵
나만의 취미, 각자의 취미
모두가 원하는 친절한 친구
옥수수 전분으로 슬라임을 만든다고? (6~12세)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