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발달장애인용 신규 맞춤형 콘텐츠] 스마트폰으로 동영상 촬영하기
시청자미디어재단, 스톰미디어, 발달장애인, 2024, 신규, 스마트폰, 동영상, 촬영
내용
공감하기
자막
00:00:00 [♪] 흥겨운 배경음악 00:00:16 (박철우) 안녕하세요, 저는 동영상 만드는 방법을 쉽고 재미있게 알려드릴 강사 박철우입니다. 00:00:22 (박철우) 카메라나 컴퓨터 없이 스마트폰 하나로 나만의 영상을 만들어보려고 합니다. 00:00:27 (박철우) 영상을 만들기 위한 첫 번째 과정, 먼저 어떤 내용을 담을지 생각을 해야 되는데요. 00:00:33 (박철우) 내가 좋아하는 음식 다섯 가지 또는 내가 사랑하는 사람들이 웃는 순간. 00:00:38 (박철우) 이런 주제처럼 동영상에 무엇을 담을지 한번 생각을 해보는 거예요. 00:00:43 (박철우) 그다음에 내용에 맞는 장면을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시면 됩니다. 00:00:49 (박철우) 이렇게 촬영이 끝났으면 편집을 하셔야 되는데요. 00:00:52 (박철우) 편집은 여러 개의 동영상과 사진을 내가 생각한 순서대로 연결하면 됩니다. 00:00:58 (박철우) 편집을 하면서 하고 싶은 말을 자막으로 넣을 수 있고, 배경 음악도 넣을 수 있는데 그렇게 되면 훨씬 멋진 영상이 완성됩니다. 00:01:07 (박철우) 이렇게 만든 영상을 다른 사람들과 함께 보면 더 큰 즐거움을 느낄 수 있죠. 00:01:12 (박철우) 그렇다면 영상 촬영은 어떤 순간에 해야 하느냐. 00:01:16 (박철우) 이 귀여운 친구는 오늘 저희와 함께할 강아지 '매실이'라고 합니다. 귀엽죠? 00:01:22 (박철우) 사실 이렇게 사진만 연결해도 영상이 되지만 매실이의 귀여운 움직임이나 소리까지 담고 싶다면 그때가 바로 동영상 촬영이 필요한 순간입니다. 00:01:34 (견주) 매실아~ 매실이~ 언니, 언니, 언니, 언니, 언니! 00:01:37 (박철우) 어때요, 영상으로 보니까 훨씬 좋죠? 00:01:40 (박철우) 움직이는 사람이나 동물뿐만 아니라 바람에 흔들리는 예쁜 꽃이나 바닷가의 파도 또는 하늘 위의 구름도 영상으로 찍을 수 있습니다. 00:01:51 (박철우) 영상을 찍어두면 좋았던 순간을 더 확실하게 간직할 수 있답니다. 00:01:56 (박철우) 영상에는 이렇게 내가 나오게 촬영할 수도 있고, 내가 아닌 다른 사람들을 찍을 수도 있어요. 00:02:02 (박철우) 강아지나 고양이 같은 반려동물을 찍어도 되고요. 00:02:05 (박철우) 좋아하는 물건이나 음식을 찍어도 됩니다. 00:02:09 (박철우) 이렇게 찍은 영상으로 이야기가 있는 영화나 음악에 어울리는 뮤직비디오를 만들 수도 있습니다. 00:02:15 (박철우) 누군가에게 질문을 하고 대답을 들어보는 인터뷰 영상도 만들 수 있습니다. 00:02:20 (박철우) 요즘에는 여행하는 모습이나 하루 일과를 찍어서 유튜브나 SNS에 올리는 브이로그를 만들기도 합니다. 00:02:29 (박철우) 여러분은 어떤 영상을 만들고 싶으세요? 00:02:32 (박철우) 고민이 끝났다면 지금부터 잘 찍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00:02:37 (박철우) 여러분, 동영상 촬영을 위해 먼저 스마트폰을 켜주세요. 00:02:42 (박철우) 카메라 앱을 찾아서 누르면 보통 이렇게 사진 촬영 모드로 돼 있을 거예요. 00:02:47 (박철우) 화면을 옆으로 밀어서 동영상 모드로 바꿔주면 됩니다. 00:02:51 (박철우) 그리고 화면 비율을 정해야 해요. 00:02:54 (박철우) 스마트폰을 이렇게 가로로 들고 찍을지, 아니면 세로로 들고 찍을지 정하는 겁니다. 00:03:01 (박철우) 딱 정해서 한 가지 방향으로 쭉 찍는 게 좋아요. 00:03:05 (박철우) 가로세로 두 가지 비율로 찍어서 영상을 만들면 어떻게 될까요? 00:03:09 [♪] 흥겨운 배경음악 00:03:16 (박철우) 보세요, 어지럽고 지저분해 보이죠? 00:03:19 (박철우) 만약에 요즘 많이 보이는 숏폼 영상, 그러니까 인스타그램 릴스나 유튜브 쇼츠 같은 형태로 만들고 싶다면 이렇게 세로로 찍는 걸 추천합니다. 00:03:29 [♪] 흥겨운 배경음악 00:03:37 (박철우) 두 번째로 촬영할 때 수직, 수평을 맞추셔야 돼요. 00:03:40 (박철우) 물체가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똑바로 보이도록 찍는 겁니다. 00:03:45 (박철우) 한번 볼까요? 00:03:46 (박철우) 수평을 맞춘 사진과 안 맞춘 사진이에요. 00:03:50 (박철우) 어때요, 수평을 맞춘 쪽이 더 보기 좋죠? 00:03:53 (박철우) 풍경을 찍을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00:03:55 (박철우) 수평을 맞추지 않으면 뭔가 어지럽고 불안해 보일 수 있어요. 00:03:59 (박철우) 그런데 수직, 수평 맞추기가 어렵다고요? 00:04:02 (박철우) 스마트폰 카메라에 있는 수직/수평 안내선이 여러분을 도와줄 거예요. 00:04:07 (박철우) 수직/수평 안내선은 이렇게 카메라를 켜면 여러 개의 가로세로 줄이 보일 겁니다. 00:04:14 (박철우) 본인 카메라에 혹시 보이지 않는다면 보이도록 할 수 있어요. 00:04:17 (박철우) 카메라 화면 위쪽에 톱니바퀴 모양의 설정 버튼이 있습니다. 00:04:21 (박철우) 이걸 누르면 다양한 설정 메뉴가 나오는데요. 00:04:24 (박철우) 아래로 좀 내려보시면 수직/수평 안내선 활성이라고 쓰여 있을 거예요. 00:04:29 (박철우) 이게 꺼져 있을 수도 있으니까 반드시 눌러서 켜고 촬영하도록 하세요. 00:04:34 (박철우) 그런데 영상 촬영 초보자들이 많이 하는 실수가 있어요. 00:04:37 (박철우) 어떤 건지 제가 한번 보여드릴게요. 00:04:40 [♪] 흥겨운 배경음악 00:04:47 (박철우) 여러분, 보니까 어떠세요? 00:04:49 (박철우) 대체 뭘 찍고 싶었던 건지도 잘 모르겠고, 영상만 봐도 멀미가 날 것 같아서 오래 보기 힘든 영상입니다. 00:04:57 (박철우) 이렇게 찍어온 학생에게 왜 이렇게 찍었냐고 물어봤더니 이런 대답을 하시더라고요. 00:05:02 (박철우) "선생님, 저는 동영상을 멈춰서 찍는 줄 몰랐습니다." 00:05:06 (박철우) 동영상은 무조건 같이 움직이면서 찍어야 하는 줄 알았대요. 00:05:10 (박철우) 여러분도 혹시 영상을 찍을 때 이리저리 움직이면서 찍고 있나요? 00:05:14 (박철우) 그렇다면 지금부터는 움직이지 말고 찍어보세요. 00:05:18 (박철우) 다리는 가만히, 팔도 가만히, 카메라도 움직이지 않고 마치 사진 찍듯이 동영상을 찍는 거예요. 00:05:26 (박철우) 그런데 바다나 산처럼 넓게 펼쳐진 풍경을 한 번에 담고 싶은데 움직이지 않으면 다 찍을 수 없다고 생각하시죠? 00:05:34 (박철우) 요즘 스마트폰 카메라는 화각을 조절할 수 있어요. 00:05:38 (박철우) 화각이란 카메라가 담을 수 있는 넓이를 말합니다. 00:05:42 (박철우) 화각이 크면 더 넓은 화면을 담을 수 있는 건데요. 00:05:47 (박철우) 스마트폰 종류에 따라 화각 조절이 안 될 수도 있습니다. 00:05:51 (박철우) 그래도 어지럽게 움직이지 말고 부분적으로 찍어보세요. 00:05:57 (박철우) 넓은 풍경 중에 보여주고 싶은 부분이 여러 개라고요? 00:06:01 (박철우) 그래요, 만약 바다라면 파도도 찍고 싶고, 날아다니는 갈매기도 찍고 싶고, 모래사장도 찍고 싶고, 이렇게 여러 부분을 찍고 싶을 수 있어요. 00:06:11 (박철우) 그러면 움직이지 말고 부분, 부분 여러 번 찍으시면 돼요. 00:06:16 (박철우) 부분적으로 찍고 편집 과정을 통해 이 장면들을 연결하면 되니까요. 00:06:22 (박철우) 그래도 동영상을 만약 걸으면서 찍어보고 싶다면 스마트폰을 최대한 몸 가까이에 붙여서 팔은 움직이지 않고 다리만 움직이면서 찍어보세요. 00:06:33 (박철우) 이렇게 찍은 화면은 움직이고 있지만 몸에 바짝 스마트폰을 붙이고 촬영을 하시면 편안한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00:06:42 (박철우) 학생들에게 최대한 움직이지 말고 촬영하는 걸 가르쳐줬더니 또 이런 질문을 받은 적이 있어요. 00:06:47 (박철우) "선생님, 꽃밭이나 나무를 찍고 싶은데 이거 안 움직이는 거 아닌가요? 가만히 찍으면 사진이랑 동영상이랑 똑같지 않나요?" 00:06:57 (박철우) 제 대답은 절대 똑같지 않습니다. 00:06:59 (박철우) 왜냐하면 나무를 찍을 때 나무는 그 자리에 그대로 있지만 바람이 살랑살랑 불 수도 있고요. 00:07:06 (박철우) 또 새가 날아올 수도 있잖아요. 00:07:08 (박철우) 또 낙엽이 나풀나풀 떨어질 수도 있고요. 00:07:11 (박철우) 이런 걸 힐링 영상이라고 하죠. 00:07:13 (박철우) 이런 영상에 좋아하는 노래를 깔면 나만의 뮤직비디오가 될 수도 있는 거예요. 00:07:20 (박철우) 기분 좋은 힐링 영상 여러분도 찍을 수 있습니다. 00:07:25 (박철우) 영상 잘 찍는 방법, 이번에는 거리 맞추기입니다. 00:07:29 (박철우) 찍고 싶은 대상이 나와 얼마나 떨어져 있느냐에 따라 느낌이 다른데요. 00:07:34 (박철우) 너무 귀여운 우리 집 강아지 매실이를 찍어서 자랑하고 싶어요. 00:07:38 (박철우) 그러면 여기서 중요한 건 강아지거든요. 00:07:42 (박철우) 그런데 이렇게 넓은 공간에 매실이는 보일 듯 말 듯 찍으면 어떨까요? 00:07:46 (박철우) 내가 자랑하고 싶은 매실이의 귀여움을 보여줄 수 없잖아요. 00:07:50 (박철우) 주인공인 매실이를 화면에 잘 보이게 담아야겠죠. 00:07:54 (박철우) 귀여운 건 가까이에서 다 같이 봐야죠. 00:07:57 (박철우) 이렇게 자세히 봐야 할 필요가 있는 건 가까이 가서 찍는 게 좋습니다. 00:08:02 (박철우) 하지만 무조건 가까운 게 좋은 건 아니에요. 00:08:05 (박철우) 자연이나 풍경은 멀리에서 넓게 찍으면 좋죠. 00:08:10 (박철우) 만약 넓은 꽃밭을 찍고 싶다면 멀리서도 찍고 또 가까이에 가서 꽃 한 송이에 집중해서 한번 찍어보세요. 00:08:18 (박철우) 그리고 편집으로 이 두 화면을 연결하면 여러분이 보여주고 싶은 걸 다 보여줄 수 있습니다. 00:08:25 (박철우) 동영상 잘 찍기 위한 방법, 이번에는 배치하기입니다. 00:08:29 (박철우) 배치가 뭐냐 하면 화면 안에서 사람이나 물건을 어디에 둘지 정하는 거예요. 00:08:35 (박철우) 어떻게 배치하는지에 따라 느낌이 많이 다른데요. 00:08:39 (박철우) 바로 비교해 볼까요? 00:08:41 (박철우) 사람을 찍었을 때 화면이에요. 00:08:43 (박철우) 둘 중에 뭐가 더 보기 좋은가요? 00:08:45 (박철우) 아마 많은 분들이 오른쪽 화면을 선택하실 거예요. 00:08:49 (박철우) 그러면 왼쪽 화면은 왜 별로일까요? 00:08:53 (박철우) 먼저 배경에 없어도 될 게 너무 많습니다. 00:08:56 (박철우) 그리고 인물 뒤쪽으로 빛이 들어오고 있죠 00:09:00 (박철우) 사람이나 사물이 빛을 등지고 있으면 이렇게 되는 거예요. 00:09:06 (박철우) 이런 걸 역광이라고 말을 하는데요. 00:09:08 (박철우) 빛이 뒤에 있으니까 피부도 칙칙해 보일 수 있습니다. 00:09:12 (박철우) 햇빛은 어쩔 수 없는 건데 어떻게 배치하냐고요? 00:09:16 (박철우) 그러면 사람이 빛을 마주 보고 있는 곳으로 이동하면 되죠. 00:09:22 (박철우) 또 이 화면은 사람의 머리 위의 공간이 너무 많아요. 00:09:26 (박철우) 사람 얼굴이 화면 정중앙에 있지 않아도 돼요. 00:09:30 (박철우) 그러면 어떻게 하면 되는지 배치가 잘 된 화면을 한번 볼까요? 00:09:35 (박철우) 여기 보세요, 사람 얼굴이 더 위에 있는데 보기 편안하시죠? 00:09:40 (박철우) 이렇게 인물을 찍을 때는 머리 위로 주먹 하나가 들어갈 정도의 공간을 비워서 촬영하시면 됩니다. 00:09:48 (박철우) 그리고 사람 뒤에 빛이 없으니까 피부가 훨씬 밝은 느낌이 들죠. 00:09:54 (박철우) 그리고 뒷배경도 지저분한 게 없으니 사람에게 집중이 잘 됩니다. 00:09:59 (박철우) 여러분, 혹시 셀카 찍는 거 좋아하세요? 00:10:02 (박철우) 별로 안 좋아하더라도 잠시 스마트폰 셀카 모드를 켜보세요. 00:10:07 (박철우) 셀카 많이 촬영하는 친구들은 잘 알 거예요. 00:10:09 (박철우) 내가 예뻐 보이는, 잘생겨 보이는 각도가 있다는걸요. 00:10:13 (박철우) 저도 한번 같이 해볼게요. 00:10:16 (박철우) 카메라를 밑으로 내려서 얼굴을 찍으면 어때요? 00:10:19 (박철우) 저도 한번 찍어볼게요. 00:10:23 (박철우) '아이고, 이게 누구야? 내가 이렇게 생겼었나?' 이런 생각이 들 거예요. 00:10:27 (박철우) 그리고 카메라를 눈높이보다 살짝 이렇게 위에 두고 찍으면 눈이 좀 커 보이고 턱 부분이 날렵해집니다. 00:10:36 (박철우) 이게 바로 각도의 중요성입니다. 00:10:40 (박철우) 셀카를 찍을 때처럼 영상을 찍을 때도 보기 좋은 각도가 있어요. 00:10:45 (박철우) 위에서 아래로 내려보며 찍는지, 아니면 아래에서 위로 올려보며 찍는지, 아니면 눈높이를 맞춰서 찍는지에 따라 다른 느낌을 낼 수 있습니다. 00:10:57 (박철우) 만약 맛있는 음식을 찍고 싶다면 이렇게 위에서 아래로 찍어야 그릇 안에 있는 음식이 잘 보이겠죠. 00:11:05 (박철우) 위에서 아래로 찍을 때도 각도는 다양한데요. 00:11:09 (박철우) 카메라를 형광등처럼, 제가 이렇게 하는 것처럼 완전히 내려보면서 찍을 수도 있고요. 00:11:15 (박철우) 약간 옆에서 이런 식으로 내려보는 모습으로 찍을 수도 있습니다. 00:11:20 (박철우) 보기 좋은 각도는 많이 찍어보면서 찾을 수 있으니까요. 00:11:24 (박철우) 각도 찾기 힘들다고 포기하지 마시고 다양한 각도에서 여러 번 찍어보세요. 00:11:30 (박철우) 요즘 스마트폰 카메라는 기능이 참 좋습니다. 00:11:33 (박철우) 여러분은 어떤 기능을 주로 쓰시나요? 00:11:36 (박철우) 기본적인 동영상, 사진 촬영 기능을 많이 쓰시죠? 00:11:40 (박철우) 좀 더 특별한 느낌을 주고 싶다면 다른 기능도 한번 써보세요. 00:11:45 (박철우) 카메라 화면 아래쪽에 "더 보기"라는 메뉴가 있어요. 00:11:50 (박철우) 이걸 누르면 다양한 메뉴가 나옵니다. 00:11:53 (박철우) 여기에서 인물 사진, 인물 동영상은 사람을 찍을 때 활용하면 좋아요. 00:11:59 (박철우) 뒷배경을 흐리게 만들어서 사람이나 사물에게 더 집중할 수 있게 해주거든요. 00:12:05 (박철우) 이번에는 슬로우 모션을 한번 써볼까요? 00:12:08 (박철우) 슬로우 모션은 강아지처럼 빠르게 움직이는 모습을 찍을 때 한번 써보세요. 00:12:13 (박철우) 빠르게 움직이는 강아지의 모든 순간을 천천히 볼 수 있는 느낌이 듭니다. 00:12:19 (박철우) 두 가지 방법으로 촬영한 화면인데요. 00:12:22 (박철우) 이 두 영상을 편집으로 섞어서 연결하면 마치 영상이 춤을 추는 듯한 리듬감을 느낄 수 있답니다. 00:12:29 (박철우) 오늘 알려드린 방법을 기억하면 여러분도 스마트폰으로 멋진 영상을 촬영할 수 있습니다. 00:12:36 (박철우) 여러 가지 방법으로 최대한 많이 촬영해 보시면 어떤 방법이 나와 잘 맞는지 찾을 수 있을 겁니다. 00:12:42 (박철우) 지금 바로 카메라 On! 00:12:46 [♪] 마무리 배경음악
분류선택하기
분류선택하기
생활정보
안전
건강
요리
직업
취미
교육
기타
유튜브
우리들의 이야기
부모교육 및 지원정책
다음동영상(취미)
[2024 발달장애인용 신규 맞춤형 콘텐츠] 스마트폰으로 동영상 ..
신나는 '올챙이와 개구리' 율동
번개체조 잘난체조
쉽게 따라할 수 있는 인생사진 찍기!
특집기사. 신나는 세계여행 (6~12세)
절대 절대 안 터지는 풍선
즐거운 '우유송' 율동
맛있는 슬러시,아이스크림 만들기
이불과 베개로 재밌게 놀자
나만의 취미, 각자의 취미
네모 나라 친구들과 신나는 율동
너무 너무 화날 때 이런 음악 어때 ?
"어서 와, 페이스북은 처음이지?" SNS 활용하는 법
개그맨 김원효가 알려주는 "나도 이제 유튜버!"
나만의 휴대폰 케이스 만들기
집콕놀이의 재미: 색칠하기
달걀로 만든 탱탱볼로 활동하기
멋지게 애완동물 기르기
귀여운 강아지와 즐거운 율동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2~5세)
동요 '건너가는 길' 율동
자석이 된 풍선
파티 용품 만들기: 가랜드 만드는 방법
내 손으로 만들어 먹어요 (6~12세)
노래로 이야기하는 신나는 뮤지컬
즐겁게 기다리는 방법
발달장애인 밴드 "평화밴드 보이앤걸즈" 이야기 (2020 드림톡톡..
여행 첫 번째, 같이 걸어보자(같이 해요 시리즈 7편)
[2024 발달장애인용 신규 맞춤형 콘텐츠] 케이팝 챌린지
즐겁게 음악으로 표현해요
같이 꽃꽂이를 배워보자(같이 해요 시리즈 6편)
[2024 발달장애인용 신규 맞춤형 콘텐츠] 스마트폰으로 동영상 ..
'얼굴놀이' 하면서 놀자~ 놀자~
발달장애인 브이로그 "김대연의 아름다운 취미생활"
우리나라 음악, 국악에 풍덩 빠져봐요!
해바라기 부채 만드는 방법
발달장애인 가족생활 1편 - 부부생활
튼튼 쑥쑥 얄라차 체조
귀여운 나만의 이모티콘 만들기
즐거운 한옥 체험
도전! 함께 등산하기
캠핑은 즐거워 (2~5세)
안전한 액체괴물 만드는 법
여행 두 번째, 같이 책방을 가보자(같이 해요 시리즈 8편)
함께 즐겁게 공을 가지고 놀아요
공원에서 친구랑 신나게 놀기
오늘부터 나도 식집사! 반려식물 키우기
옥수수 전분으로 슬라임을 만든다고? (6~12세)
[모두의 춤] 케이팝 따라하기 - 크러쉬 "Rush Hour" 편
신나게 춤 춰요! 실버댄스
빙빙빙 종이비행기 만들기
먹을 수 있는 그릇 만들기
바다로~ 산으로~ 여행을 떠나요
재미있는 빨대 피리 만드는 방법
[2024 발달장애인용 신규 맞춤형 콘텐츠] 다양한 지역사회 프로..
모두의 춤 케이팝 따라하기
모두가 원하는 친절한 친구
하하하 웃음빵
복부비만 탈출 (6~12세)
얄라차 체조 동영상
나풀나풀 꽃밭에 놀러온 나비
날아라 종이비행기 접는 법
집콕놀이의 재미: 종이 오리기
닫기